V3 Research
앱토스, 롯데와 500만 토큰 바우처 유통 ··· 한국 ‘온체인 경제’ 가속
Tokend
Explains how blockchain tokenization streamlines issuance, management and redemption of gift cards and prepaid vouchers, reducing fraud and costs while enabling new loyalty and payment use cases.
KoreaHerald
Article outlines Korea’s nationwide voucher program, eligibility rules for citizens and foreign residents, and spending restrictions designed to stimulate local consumption through time-limited coupons.
Google Patents
专利提出在区块链上发行和管理电子优惠券的通用方法,通过智能合约记录发行、转让与核销流程,提高透明度并避免重复使用。
Twitter
Tweet announces that over one million real-world vouchers from Lotte Group have been placed on the Aptos blockchain, marking a significant step toward mainstream Web3 adoption in Korea.

Executive Summary
 앱토스(Aptos)와 롯데그룹 계열사 대홍(Giftiel 플랫폼)이 500만 개 이상의 바우처를 온체인으로 발행·유통하며 한국 온체인 경제의 실질적 확산을 견인하고 있다5631. 본 분석은 해당 사례가 제공하는 사업·기술·규제·확장 기회를 종합적으로 조망한다. 
사업 개요 및 주요 성과
 Giftiel은 Aptos 블록체인을 통합한 지 3개월 만에 13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온보딩하고 500만 장이 넘는 디지털 바우처를 발행했다531. 트위터 및 미디어 보도에 따르면 이미 100만 장 이상의 실물 바우처가 완전 상용 환경에서 교환되며 소비자 경험이 검증되었다410. 대형 유통망·결제 인프라를 보유한 롯데와 확장성 높은 L1인 Aptos의 결합은 기존 모바일 쿠폰 시장(연간 4조 원 규모 추정)을 빠르게 Web3로 흡수할 수 있는 레버리지를 제공한다614. 
기술적 가치 제안
 바우처를 대체불가토큰(NFT) 혹은 대체가능 토큰으로 토큰화함으로써 이중 사용 방지, 실시간 정산, 추적 가능성이 확보된다13. Deloitte·Oliver Wyman 연구는 블록체인이 고객 로열티 프로그램의 비용을 30% 이상 절감하고 파트너 간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킨다고 지적한다3839. 스마트컨트랙트 자동 정산 구조는 운영 부담을 낮추고, Giftiel 사례와 같이 모바일 앱에 ‘지갑 없는’ UX를 얹으면 사용자는 Web2 수준의 편의성을 유지할 수 있다4041. 
시장·규제 환경
 한국 정부는 코로나 기간 동안 전국민 소비 쿠폰을 대대적으로 발행하며 바우처 기반 경기 부양에 익숙해졌다2. 외국인 거주자 적용 요건과 소상공인 전용 사용처 제한 등에서 보듯, 규제는 소비자 보호·지역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둔다43. 블록체인 기반 바우처는 거래 추적성과 발행 한도를 코드화함으로써 이러한 정책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 공공 부문 도입 가능성도 높다. 
확장 잠재력과 비즈니스 모델
 Aptos-롯데 파트너십은 향후 멤버십 포인트, 결제, 크로스보더 리밋리스 송금까지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1821. CEO 인터뷰에 따르면 Aptos는 실물자산 토큰화와 리테일 결제 인프라를 결합해 ‘Money Movement Ecosystem’을 구축하려 한다717. Lotte 계열사 다수와의 생태계 확장은 수천만 명 규모의 기존 고객군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온체인 서비스(보험, 엔터테인먼트 티켓, NFT 굿즈 등)를 시현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제공한다1424. 
리스크 및 해결 과제
 가장 큰 과제는 규제 불확실성과 대규모 트래픽에 대한 기술적 안정성이다. 바우처 대량 발행 시 가스비 급등이나 브리지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1245, 개인정보 보호 규정과의 정합성도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소비자에게 블록체인 주소·키 관리를 강요하지 않는 ‘숨은 UX’ 설계가 미흡할 경우 대중 수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40. 따라서 L2 또는 앱체인 도입, 실명 인증 연동, 가스 대납 모델 등을 통한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된다10. 
Further Exploration
- 공공 복지·지역 화폐 바우처의 온체인 전환 가능성 분석
- 스테이블코인 결제 연동 시 시너지 및 규제 대응 전략
- 대기업-스타트업 연합 형태의 멤버십 포인트 교환 마켓플레이스 모델 설계
- 아시아 타 국가(일본·싱가포르) 유통 기업과의 Cross-border 바우처 상호운용성 연구
- 소비자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지식증명(ZKP) 적용 방안
(Visit Discover for more)
15 days ago
